Ⅰ. 연구개요

주관연구과제명지구온난화에 대비한 적응성 우수 도입수종 육성연구
위탁연구과제명국문백합나무 조림적지 및 한계권역 설정을 위한 중·남부 지역 실태조사(1년차)
영문영문?
연구기관한국포플러속성수위원회연구책임자소속한국포플러속성수위원회
성명구 영 본
연구기간2021. 3. 02 ~ 2020. 11. 30 (10 개월)
연구개발비18,060 천원
참여연구원수총 5명내부 : 5명, 외부 : ○명

 

Ⅱ.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연구 목적 

○ 백합나무 조림 한계권역 명정 ○ 백합나무 조림지적의 입지·환경 및 토양인자 구명

2. 필요성 

○ 백합나무는 미국원산으로 우리나라에서 생육권역에 따라서 좋은 생장을 보여 2000년 초부터 전국 각지에 조림시작

 ○ 특히 2008년부터 산림자원조성 주요 정책인 바이오순환림 조성사업의 주 수종으로 대면적 조림이 본격화 

○ 생육권역 또는 입지에 따라서 임지생산능력은 높지만 온대북부 산악지역,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강원도와 경북지역의 일부 지역애서 생존율 및 생장이 극히 불량하여 백합나무의 한계권역과 적지 입지·환경 규명이 절실히 요구됨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백합나무 한계권역 구명 : 20개소 - 지금까지 적응 및 생장 장애가 심하게 지역(4-1. 4-2. 3-7 등)을 중심으로 생장 및 적응관련 특성 관찰이 가능한 10년 이상 조림지를 대상으로 생장과 입지·환경 조사 - 거시 환경인자인 기상인자(기온, 습도, 강우량 등)을 중심으로 생장과 적응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한계권역 판정 

○ 백합나무 적지판정 : 20개소 - 비교적 적응 및 생장 장애가 적었던 생육권역을 중심으로 10년 이상 대상임분(20) 선정 및 생장과 입지·환경 조사 - 대상 조림지의 입지·환경인자(국소지형, 방위 등)와 토양인자(물리적, 이화학적 특성)를 조사, 백합나무 생장 및 적응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조림적지의 환경인자 구명

Ⅳ. 연구 결과 

○ 백합나무 한계권역 명정 

- 연평균기온에 의한 백합나무의 생태거리가 먼 지역은 강릉 대기, 횡성 삽교, 정선 장열 등의 2.5 이상의 거리를 보이는 생육권역 4-1에 속하는 조림지 - 연평균 상대습도에서 생태거리가 먼 지역은 합천 매화, 영덕 신기. 영덕 대부, 구미 송산, 상주 이촌 등은 4.5이상으로 생육권역 2-2, 2-3, 2-5, 3-1에 속하는 조림지 - 유효수분에 있어서 생태거리가 먼 지역은 강릉 대기, 구미 송산, 영덕 대부, 영덕 신기, 무주 오산, 횡성 삽교 등의 조림지가 350 이상의 거리 값을 가진 곳이다.

 - 통합척도(연평균기온 0.4. 상대습도 0.3. 유효수분 0.3)에 생재거리가 먼 지역은 강릉 대기, 횡성 삽교, 장수 월고, 무주 오산 등 조림지로 대부분의 문제 지역(4-1. 2-2. 2-3, 2-5, 4-1)의 조림지가 포함됨 


○ 백합나무 적지판정 

- 백합나무의 입지(우량, 보통, 불량구)별 전체 연평균재적생장 지수는 1.4232, 우량, 보통, 불량구은 각각 2.1552, 1.3015, 0.8128로 나타남. 우량구는 불량구에 비하여 약 2.7배 우수, 입지간의 차이 심

 - 입지·환경인자 중 백합나무 재적생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인자는 국소지형과 풍노출도, 토양인자 중에는 전토심이든 유효토심이든 토심으로 깊으면 깊을수록 생장이 우수함 

- 2년차에 더 많은 조사구를 포함하여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겠지만 금년 1년차 결과만 보면 입지·환경인자와 토양인자 개별 환경인자 하나하나 보다는 여러 환경인자가 모여서 생장과 적응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

Ⅴ. 연구결과 활용에 대한 건의 

○ 1년차의 개략적인 결과이지만 배합나무 조림 시 한계권역에 언급된 지역은 조림에서 제외하는 것인 바람직함 

○ 보다 더 정밀한 백합나무 한계권역 명정과 적지 판정을 위하여 조사지역 확대가 불가피하므로 2022년도에는 여비 예산 증액이 반드시 필요

댓글
* 이메일이 웹사이트에 공개되지 않습니다.